비대면 원격진료 원격의료 AI 서비스 관련주 총정리I토마토시스템,인성정보,케어랩스,제이엘케이,비트컴퓨터,에스코넥,유비케어,이지케어텍,마크로젠,소프트센,인피니트헬스케어
본문 바로가기
업종별/제약, 바이오,헬스케어,의료정밀

비대면 원격진료 원격의료 AI 서비스 관련주 총정리I토마토시스템,인성정보,케어랩스,제이엘케이,비트컴퓨터,에스코넥,유비케어,이지케어텍,마크로젠,소프트센,인피니트헬스케어

by 빨간장대양봉 2023. 11. 21.
반응형

비대면 원격 의료 진료 서비스 관련주로는 이스트소프트, 아이티아이즈, 인성정보, 소프트센, 비트컴퓨터(이준석 관련주), 뷰노, 유비케어, 케어랩스,컴투스, 루닛,라이프시맨틱스,나노엔텍,인바디,이지케어텍,인피니트헬스케어, 제이엘케이, 차바이오텍, 라이프시맨틱스, 나노엔텍, 테라젠이텍스, 인바디, 네오펙트, 파마리서치, 뷰웍스, 메디포스트, 녹십자홀딩스, 휴비츠, 마크로젠, CJ 바이오사이언스, JW중외제약,토마토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원격 의료 진료 테마주는 시장에서  연관된 관련테마 종목들이 한꺼번에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격진료 의료AI 관련주
원격진료 의료AI 관련주

 

 

 

✅비대면 원격 의료 진료 서비스 관련주 상승배경은?

  1. 각국 정부의 원격의료 진료 지원 정책 강화.
  2. ICT 및 의료기술의 발전.
  3. 의료이용자의 수요 증가.
  4. 비용절감및 편의성및 의료접근성 강화등.
  5. 정부와 의사들과의 대학정원 확대 갈등속 원격진료 부각

특히, 코로나19 발생 이후 세계보건기구(WHO)는 팬데믹 상황에서 필수 의료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플랫폼의 활용을 권장함에 따라 각국 정부는 원격의료에 대한 법적 제한 완화, 급여 적용 확대 등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원격 의료 진료 관련 주요 뉴스는?

 

 

 

 

 

 

 

그럼 원격 의료 관련주 기업 소개와 기업 차트를 아래에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원격 진료 의료ai 서비스 관련주  선정 이유

 

 

 

 

 

 

 

 

종목명 원격진료 관련주 선정 이유
인성정보 U-Health사업 영위. 원격모니터링 사업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하이케어 건강관리서비스와 Hicare ASP 서비스 등 제공중.
홍준표 :원격진료 정책 공약 수헤주
소프트센 소프트센은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인프라 및 IT 역량을 활용한 의료, 제약 및 바이오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관리·유통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고려대의료원이 주관하는 '차세대 병원정보 시스템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사업'을 수주한 이력이 부각.
뷰노  의료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으로 뷰노메드 본에이지를 개발해 국내 최초로 AI 의료기기 인허가를 획득한 기업임.
비트컴퓨터 디지털헬스케어사업에서 원격의료시스템인 비트케어플러스와 독립 키오스크 형태인 비트케어스테이션, 원격건강모니터링서비스 비트케어등 제품 라인업 보유중.
이준석 : 조현정 회장은 이준석과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케어랩스 옐로모바일 그룹의 헬스케어 토탈 솔루션 업체. 헬스케어 솔루션(CRM 소프트웨어, 처방전보안시스템, 약국청구프로그램) 및헬스케어 미디어(병원약국 검색 서비스 '굿닥', 뷰티케어관련 커뮤니티 앱 '바디톡') 등의 사업을 영위.
유비케어 U-Healthcare 사업 영위업체. 기업의 임직원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서비스(U-Healthcare)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2년3월 건강관리 서비스 및 친환경농산물 유통업체인 (주)에버헬스케어를 흡수 합병. 스마트검진 모바일 앱 "에버헬스" 출시.
컴투스 메타버스 플랫폼 '컴투버스'에 닥터나우의 비대면 원격진료 서비스를 도입
이스트소프트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과 맞춤형 협업 솔루션 '팀업'제공
토마토시스템 자회사인 사이버엠디케어가  원격진료 서비스  '리모트케어포유(RemoteCare4U)'을 미국에서 진행
제이엘케이 원격의료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개인 의료정보 관리 토탈솔루션 앱 '헬로헬스' 개발을 완료.
에스코넥 원격진단키트 '요닥' 생산/판매
이지케어텍 의료정보시스템인 BESTCare 공급 및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을 유지보수 및 위탁 운영하는 사업 등을 영위중.
국립교통재활병원과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HIS) `베스트케어2.0(BESTCare2.0)`의 구축 및 운영사업 계약을 체결.
인피니트헬스케어 솔본그룹 계열의 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솔루션(PACS)을 개발, 서비스하는 전문업체. PACS 및 3차원 의료영상 소프트웨어를 개발/제공.
루닛.  AI 기반 의료영상 판독기업.
루닛의 AI 영상분석 솔루션 日건강보험 급여 가산 대상 인증 획득
라이프시맨틱스 라이프시맨틱스의 '닥터콜'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의료기기 인증을 받은 비대면 진료 서비스로 중앙대학교 병원, 부산대학교 병원, 양산부산대학교 병원등과 협업중
나노엔텍 나노엔텍의 체외진단장비는 원격진료시 수혜주 부각
인바디 인바디는 의료기기 전문 제조업체로  체성분 분석 세계 1위 기업.
마크로젠 LG생명과학와 함께 개인 유전체정보를 활용한 맞춤치료 분야 연구개발 및 시장진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 DNA 관련 분석업체로 염기서열 분석서비스 제공중.
서정선 회장이 안철수 서울대 의대 동문.

 

 

 

 

✅비대면 원격진료 의료 서비스 관련주 사업내용 및 차트

 

1.이스트소프트:원격 의료 진료관련주

이스트소프트가 원격의료 관련주인이유는?

의료협업 솔루션 '팀업'을 병원에 공급.
이스트소프트 주요사업내용은?

AI챗봇 제공 솔루션 보유. AI 아나운서 및 AI 강사 출시.
삼성웰스토리에 인공지능(AI) 서비스 공급.
글로벌 AI 비즈니스를 위한 파트너십 체결.
자회사 이스트시큐리티 설립(보안 소프트웨어 알약 서비스). 통합 백신 프로그램인 알약을 통해 PC 악성코드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기능을 제공.

<이스트소프트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이스트소프트 04756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2.아이티아이즈:비대면 원격 의료 관련주

아이티아이즈가 원격의료 관련주인 이유는?

증강현실(AR)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격의료·협진 서비스인 'ARemote' 저작권 등록.
지난해 말 부산대병원, 이온엠솔루션과 함께 AR 기술을 활용한원격의료 협진 서비스 'MED-R'을 독자 기술로 개발한 구름위(GURMWI) 플랫폼을 출시.
<아이티아이즈 분기별 실적 확인 바로가기>

아이티아이즈 37280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3.소프트센:게임,원격 진료 관련주


인프라 및 솔루션 기반 IT서비스 기업 의료, 제약 및 바이오 정보를 수집/분석/관리/유통하는 헬스인포메틱스 사업을 영위.
대구광역시에 수요연계형 데일리 헬스케어 실증단지 조성사업에 참여. 18년8월 국립암센터 정보전산시스템(EMR) 운영 계약 체결.


클라우드가 개발한 게임 비즈니스 플랫폼 게임업(GameUp)의 결합 퍼블리싱 프로젝트에 협력 파트너로 참여.
소프트센의 분기실적 확인하기

032680 주식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4.이지케어텍:원격의료 관련주

이지케어텍이 원격 의료 관련주인 이유는?

의료정보시스템인 BESTCare 공급 및 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을 유지보수 및 위탁 운영하는 사업 등을 영위중. 2020년7월10일 국립교통재활병원과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HIS) `베스트케어2.0(BESTCare2.0)`의 구축 및 운영사업 계약을 체결.
이지케어텍의 주요사업 내용은?

이지케어텍은 중대형병원에 특화된 BESTCare2.0과 중소형 병원 및 의원에 특화된 Edge&Next 의료정보시스템을 빠르게 확산시킴으로써 대한민국의 의료정보산업 발전에 앞장서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해외 선진시장에도 의료정보시스템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이지케어텍의 분기별 실적 확인 바로가기>

이지케어텍 09975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5.인성정보:비대면 원격 진료 관련 대장주

인성정보가 원격진료 관련 대장주로 선정된 배경은?

U-Health사업(u-Health 관련 Device 및 Platform 생산 및 수출, 종합 헬스케어 서비스 외) 영위. 원격 의료(원격 모니터링) 사업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하이케어 건강관리서비스와 Hicare ASP 서비스 등 제공중.
인성정보 주요 사업내용은?


인성정보는 1992년 2월 설립된 기업으로 소프트웨어 도매사업부문(25%매출발생), 네트워크장비 도매사업부문(약33%매출), IT 인프라 사업부문(42%매출발생), 헬스케어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인성정보 분기별 재무확인 바로가기>

인성정보 03323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6.토마토시스템:원격 진료, ai 콜봇 관련주

토마토시스템이 원격 진료 관련주인 이유는?

토마토시스템이 개발한 ‘사이버엠디케어’ 원격진료 서비스을 미국에서 진행중.
토마토시스템의 주요 사업내용은?

토마토시스템은 2000년 10월 27일에 설립된 기업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주사업으로 영위중이며 2020년 AI 및 빅데이터 전문기업인 솔샘을 인수하여 2023년 AI상담 콜봇 서비스 개발중에 있습니다
<토마토시스템의 분기별 재무 상황확인하기>

토마토시스템 393210

일봉차트

  캔들 차트

 

 

 

 

 

 

 

 

 

7.인피니트헬스케어:원격의료 1위 관련주

인피니트헬스케어을 원격진료 관련주로 선정한이유는?


솔본그룹 계열의 PACS(의료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솔루션을 개발, 서비스하는 전문업체. PACS 및 3차원 의료영상 소프트웨어를 개발/제공하고있습니다.
인피니트헬스케어 사업내용은?

인피니트헬스케어는 의료영상정보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국내 PACS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재 병원 현황 기준으로 상급종합병원급 시장 75%, 종합병원급 시장 70%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인피니트헬스케어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인피니트헬스케어 07120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8.차바이오텍:제대혈,줄기세로,원격 진료 관련주

차바이오텍이 원격 진료 관련주로 선정된이유는?

원격의료 '차움'으로 대표되는 차별적인 개인 헬스케어 사업을 진행중.
차바이오텍의 주사업 내용은?


차바이오텍은  줄기세포 치료제 및 면역세포 치료제 연구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줄기세포연구소는 다년간 축적된 생명의학 기술력을 바탕으로 각종 난치병 및 퇴행성 질환 치료제 개발 및 줄기세포 관련 핵심기술(세포동결기술, 대량배양기술 등)을 보유 중이며 차병원 네트워크 내의 석박사급 연구진이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차바이오텍의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차바이오텍 08566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9.아스타:비대면 원격 의료 수혜주

아스타가 원격진료 수혜주인 이유는?


2014년 국내 최초, 세계에서 5번째로 MALDI-TOF 질량분석기 IDSys LT를 개발 완료하여 미생물 동정용으로 시장에 출시. 2016년 암 진단용 IDSys RT를 출시했으며, 시각화가 가능한 차세대 분석장비 IDSys IM (이미징 시스템)도 상품화 예정중임.
아스타의 주요 사업내용은?

아스타는 MALDI-TOF 질량분석기를 기반으로 차세대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진단방법과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하는 바이오 벤처기업이다.또한급속 폐질환 유발진균을 신속 진단할 수 있는 아스타 몰드 프랩 키트를 식약처 허가받음.

<아스타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아스타 24672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10.비트컴퓨터:원격 진료 관련주, 이준석관련주

비트컴퓨터가 원격진료 관련주인 이유는?

디지털헬스케어사업에서 원격의료시스템인 비트케어플러스와 독립 키오스크 형태인 비트케어스테이션, 원격건강모니터링서비스 비트케어등 제품 라인업 으로원격의료시스템,헬스케어 서비스 구축
비트컴퓨터의 주요 사업 내용은 무엇인가요?

IT교육 분야에서는 IT사관학교라 불리우는 비트교육센터가 IT교육사업 업계 1위임.
비트 컴퓨터와 연관된 정치인 은 누가있나요?

조현정 회장은 이준석과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을 지냄.
비트컴퓨터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비트컴퓨터 032850 차트 보기.

일봉차트

  캔들 차트

 

 

 

 

반응형

 

11.유비케어:원격의료,헬스케어 관련주

유비케어가 원격헬스 케어 관련주인 이유는?

U-Healthcare 사업 영위업체. 기업의 임직원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2년3월 건강관리 서비스 및 친환경농산물 유통업체인 에버헬스케어를 흡수 합병. 스마트검진 모바일 앱 "에버헬스" 출시.
유비케어 주요 사업내용?

주요 매출은 의료정보 플랫폼을 통해 발생하며  국내시장점유율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약국 IT, 전자상거래, 상품유통 등 사업다각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다.
<유비케어 분기별 재무 정보 확인하기>

유비케어 03262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12.케어랩스:비대면 원격 의료 관련 수혜주, 광고

케어랩스가 비대면 원격 의료 관련주인 이유는?

옐로모바일 그룹의 헬스케어 토탈 솔루션 업체. 헬스케어 미디어(병원약국 검색 서비스 '굿닥', 뷰티케어관련 커뮤니티 앱 '바디톡') 및 헬스케어 솔루션(CRM 소프트웨어, 처방전보안시스템, 약국청구프로그램) 등을 영위.
케어랩스의 주사업내용은?

케어랩스는 모바일 헬스케어 및 뷰티케어 플랫폼 서비스와 디지털마케팅 및 의료기관용 CRM소프트웨어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기업은 이디비, '굿닥' 등입니다.
주요 매출은 디지털 마케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케어랩스 분기별 실적확인 바로가기>

케어랩스 26370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13.나노엔텍:원격의료 관련주

나노엔텍이 원격의료 관련주인 이유는?

나노엔텍은 인성정보와 U-헬스케어 공동 연구와 마케팅 및 서울시 자치구 보건소 U-헬스케어 사업 진행에 대하여 MOU를 체결. 2013년 SK텔레콤과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기기(즉석 질병 진단기기) 공동 개발하였으며, 중국 심천 'SK 심천 메디컬센터'와 'SKT 헬스케어 R&D센터'를 통해 중국 진출.
나노엔텍의 주요 사업내용은?

나노엔텍은  나노바이오 융복합 기술 기반으로 생명공학과 진단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생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주요 매출은 체외진단 소모품(73.3%매출발생) 및 판매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나노엔텍의 분기별 실적 확인하러 가기>

나노엔텍 03986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14.뷰노:로봇,비대면 원격 의료 ai 수혜주

뷰노가 원격의료 관련 수혜주인 이유는?


도입된 정부 공공의료 AI ‘닥터앤서’ 자문기업

뷰노의 주요 사업내용은?

다양한 산업의 제조현장에서 제품 또는 소재의 자동 이송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폭 넓게 사용되는 갠트리 로봇 시스템을 주축으로 하는 산업자동화 시스템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뷰노의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뷰노 33822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15.인바디:원격의료 수혜주

인바디가 원격진료 수혜주로 선정된이유는?

체성분 분석기, 자동신장계, 자동혈압계 등을 생산중이며, InBody, Lookin'Body, BPBIO, InBody Band 등의 주요 상표를 보유. 홈헬스케어용 체성분분석기와 헬스케어시스템 등을 개발.
인바디의 주요 사업내용은?


인바디는  전자의료기기의 하나인 체성분분석기의 개발, 생산,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체성분분석기 판매를 통해 발생하고 있으며  할부 판매 및 렌탈 사업을 진행, B2C 제품 판매 강화 등을 통한 매출 성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인바디 분기별 재무상태 확인하기>

인바디 04183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

 

 

 

 

  •  

16.메디포스트 078160:원격의료 수혜주, 줄기세포, 제대현, 치매

메디포스트가 원격의료 관련주인 이유?

정부의 U-Health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에임메드의 지분 보유. 에임메드는 각종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원격의료서비스 관련 솔루션 및 컨텐츠를 개발중.

메디포스트는 제대혈보관사업 및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매출은 제대혈은행, 줄기세포치료제 사업부문에서 대부분 발생하고있습니다.당사는 국내 제대혈 보관 산업의 성장 초기에 가족제대혈은행을 설립하였으며 높은 보관기술력과 많은 제대혈 이식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최대 누적 제대혈보관수를 기록함.
메디포스트의 테마는 무엇이 있나요?

탈모:탈모방지 줄기세포 조성물 일본특허 취득.

표적항암,항암제:줄기세포 치료제 연구/제조. CAR-T 치료제를 개발하는 페프로민 바이오에 투자.

건강기능식품:건강기능식품 판매.
<메디포스트 분기 실적 확인하기>

메디포스트 078160 차트

일봉차트

  캔들 차트

 

 

 

 

 

 

17.제이엘케이:AI 의료 분석 관련주


의료 인공지능 1호 상장업체
제이엘케이는 원격의료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개인 의료정보 관리 토탈솔루션 앱 '헬로헬스(Hello Health)' 개발 를 활용하여, 다양한 의료기기와 연동 가능한 60여 개의 인공지능 기반 의료분석 솔루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음.
-주요 제품으로 뇌졸중 토털 솔루션인 UNISTRO, 정밀 암 분석 솔루션(전립선암, 폐암, 유방암, 위/대장암 등)을 보유하고 있음

.
 제이엘케이 분기실적 확인하기

제이엘케이 322510

일봉차트

  캔들 차트

 

 

 

 

 

 

 

18.에스코넥:원격 의료,2차전지,방산,네옴시티,일자리,수소 관련주

원격진단키트 '요닥' 생산/판매태경전자와 레이더·드론 이용한 감시체계 개발 MOU 체결 이력 보유.
중요 시설 감시체계에 레이더 기술과 드론 기술을 적용해 표적물까지 감시하는 개발 사업 진행,
방사청에 리튬전지 납품/합성가스를 활용하여 수소 생산./외국인 산업단지 원격검침인프라(AMI)를 구축중임.
에스코넥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에스코넥 096630

일봉차트

  캔들 차트

 

 

 

 

 

 

 

 

19.마크로젠:줄기세포,원격의료 진료 ,안철수 관련주

유전체 분석,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생산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LG생명과학과 공동으로 개인 유전체정보를 활용한 맞춤치료 분야 연구개발 및 시장진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 DNA 관련 분석업체로 염기서열 분석서비스 제공중.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기반 맞춤형 유산균 솔루션 ‘더바이옴’ 출시

마크로젠 분기별 실적 확인하기

마크로젠 038290

일봉차트

  캔들 차트

 

 

 

 

 

 

20.컴투스

국내 최초로 모바일게임 서비스를 시작하고, 세계 최초로 휴대폰용 자바(JAVA)게임을 개발한 모바일 게임업체. 대표적인 인기 게임으로는 서머너즈 워 시리즈, MLB9이닝스, 컴투스프로야구, 낚시의 신 등. 글로벌 모바일게임 서비스 플랫폼 '하이브'를 구축했으며,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을 개발 및 출시.

최대주주는 컴투스홀딩스 외(29.78%)
컴투스 분기 실적확인하기

078340코스닥컴투스

일봉차트

  캔들 차트

 

 

 

 

 

 

 

 

 

 

21.루닛

루닛(328130)는 현재 딥러닝 기술을 통해 인간의 시각적 한계를 보완하는  암 진단 관련 영상 판독 보조(AI-assisted detection) 솔루션을 개발하여 상용화하였음
<루닛 분기별실적>

 

일봉차트

  캔들 차트

 

 

 

 

 

 

 

 


22.라이프시맨틱스

 

라이프시맨틱스(347700)는 디지털 헬스 기술 플랫폼 및 디지털헬스 솔루션, 디지털 의료기기 등의 개발과 공급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비대면 의료에 따른 제반 수요에 착안해 국내 최초의 개인건강기록 기반 상용 디지털헬스 기술플랫폼인 '라이프레코드’를 개발하였음
라이프시맨틱스 분기별실적확인하기

 

일봉차트

  캔들 차트

 

 

 

 

 

✅원격진료 비대면 진료 의료AI 관련주와 함께보면 좋은 주식

 

 
 

 

 

 

 

 

 

✅비대면 원격의료 진료 서비스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0년 팬데믹 이후, 비대면 의료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측에 따르면, 2023년 비대면 의료 시장 규모는 57억 1000만 달러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또한, 2030년에는 224억 8000만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18.8%에 달할 것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팬데믹 상황에서 필수 의료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플랫폼의 활용을 권장하였고 이에 따라 각국 정부는 원격의료에 대한 법적 제한 완화, 급여 적용 확대 등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격의료의 의학적 효과성 및 안전성, 경제적 비용효과성 등에 대한 자료 부족으로 법적으로 원격의료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의료공급자에 대한 많은 규제와 제약을 둠으로써 원격의료 이용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앞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규제가 완화된다면 원격진료주들의 레벨 업된 주가가 기대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