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는에코프로비엠, 케이엔솔,이수스페셜티케미컬,엘앤에프,원준,아바코,미래컴퍼니,대주전자재료,나인테크,티에스아이,미코,씨아이에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삼성 SDI ,LG에너지설루션,천보,덕산테코피아,한농화성,레몬,동화기업,이수화학,레이크머티리얼즈 , 테이팩스,아우딘퓨쳐스 ,EG,KBG,웰크론한텍,메가터치,나래나노텍,이브이첨단소재 등이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목차
전고체 배터리란 무엇일까?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가능 시점은?
전고체 관련 주요 뉴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주가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테마 선정 이유및 차트
✅전고체 배터리란 무엇일까?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됩니다. 현재 스마트폰이나 전동공구,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 상태인 배터리입니다. 또한 전고체 배터리는 5분이면 전체 용량의 80%를 충전할 수 있고 1회 충전했을 때 주행 거리가 기존 리튬 이온 전지의 2배로 증가될수있어 차세대 미래먹거리로 부상하고있습니다.
[ 리튬이온 배터리(좌)와 전고체 배터리(우)의 구조 ]
구조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접촉을 방지하는 분리막이 위치하고 액체 전해질이 양극, 음극, 분리막과 함께 있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이 포함되면서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의 역할까지 대신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바로 안전성입니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다 보니 온도 변화로 인한 배터리의 팽창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누액 등 배터리 손상 시의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그래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부품이나 장치들이 필요합니다.
이에 반해 전해질이 고체인 전고체 배터리는 구조적으로 단단해 안정적이며, 전해질이 훼손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전기차용 배터리 용량을 높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전기차가 확실한 대세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수준의 주행거리를 구현해야 하고, 이를 위해 핵심부품인 전기차용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 방법은 배터리의 개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배터리 가격 상승과 공간 효율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전고체 배터리의 특징은?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습니다.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사라지기 때문에 안전성과 관련된 부품들을 줄이고 그 자리에 배터리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활물질을 채웠기 때문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로 전기차 배터리 모듈, 팩 등의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부품 수의 감소로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어서 용량을 높여야 하는 전기차용 배터리로 안성맞춤입니다.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가능 시점은?
세계적인 양극재 및 리튬 공급업체인 유미코아와 앨버말에서 나온 전망 을 보면 전고체 배터리는 이르면 2025년부터 상용화에 성공해 2030년에는 10%를 웃도는 시장 점유율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고체 배너리 관련 주요 뉴스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선정 이유
종목명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선정 이유 |
한농화성 | 한농화성은 국책과제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 기술 및 상용화 기술 개발'의 주관기업 으로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개발중 |
케이엔솔 | 전고체 드라이룸 제작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중. 액침냉각 솔루션 전문기업으로 ai 인공지능 수혜주. |
대주전자재료 | 세계 최초 황화리튬을 사용하지 않고 ‘공침법’이라는 간단한 용액 합성(One-pot) 과정만으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저가로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한국전기연구원(KERI)에서 이전받음. |
삼성SDI | 삼성SDI는 현재 양산 중인 각형 배터리(P5)와 비교해 약 40% 가량 향상된 에너지 밀도 900Wh/L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및 양산 준비중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 전고체 배터리 원료인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및황화수소 기술보유 |
이수화학 | 2020년부터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국책 과제에 참여해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용 원료 저가화 기술을 연구함 |
동화기업 | 2019년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액 연구 국책과제업체에 선정/ 계열사인 동화일렉트로라이트와 함께 고체전해질을 개발 중 |
덕산테코피아 | 덕산테코피아가 지분 68%를 보유중인 세븐킹에너지는 리튬 배터리 장비 제작업체와 협업을 통해 세계 최초로 무분리막 전극일체형 전고체배터리를 개발중. |
석경에이티 | 전고체 전해질 시장에서 '보라사이트(Boracite)'라는 새로운 결정구조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소재 개발함. |
메가터치 | 메가터치는 현재 국내 배터리 제조 3사가 생산하는 각형, 원형, 폴리머 배터리 등 모든 타입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에 테스트 핀 물량 100% 독점 공급사 전고체 배터리와 나트륨이온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에도 적용 가능한 부품공급중 |
웰크론한텍 | 웰크론한텍은 2차전지 양극재 원료생산을 위한 황산니켈 결정화 설비와 수산화 리튬 농축설비를 2차전지 업체에 공급중 |
레몬 | 기존 배터리대비 용량 1.5배, 수명 5.5배 향상된 전고체 지지체 전지 개발에 성공해 관련 기술의 특허 보유 |
레이크머티리얼즈 | 자회사 레이크테크놀로지가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핵심 원료인 황화리튬(Li2S) 관련 기술 및 공정 개발을 진행 |
미래컴퍼니 | 미래컴퍼니는 2024년까지 전고체 전지 정부 과제 연구 개발을 수행중 |
이브이첨단소재 | 프롤로지움 테크놀러지 전고체배터리 전문 제조기업에 지분투자중 프롤로지움은 2012년부터 전고체배터리를 개발하며 IT기기용 제품을 납품 중이며, 현재 대용량 전기차용 전고체배터리를 개발 중 |
테이팩스 | '중대형 전고체 리튬이차전지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 이라는 전고체배터리 국책과제를 수행한 이력을 보유. 2차전지용 테이프를 생산중. |
에코프로비엠 | 에코프로비엠은 2022년 황화물계 전고체배터리에 사용되는 고체전해질 개발에 착수했으며 삼성SDI에 양극재를 공급중. |
나래나노텍 | 나래나노텍이 전고체 배터리 설비와 세계 첫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 개발함 |
미코 | 미코는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용 전해질인 산화물계 전해질을 자체 연구개발하고 본격적 시장 공략중 |
아우딘퓨쳐스 | 삼성의 전고체 배터리의 충·방전기 사업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차전지 충방전기 전문제조사 갑진과 공동 경영을 추진 |
아바코 | 전고체 이차전지의 고체전해질을 고속으로 증착하는 공정 및 장비 개발중 |
EG | EG는 국책과제인 ‘전고상 전지용 고전압·고용량 양극 및 고용량 음극 기술 개발’을 통해 전고체 전지용 폴리에테르 기반 고분자 리튬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과 양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로 이뤄진 복합 양극 제조 기술 등을 연구중 |
티에스아이 | 티에스아이는 전고체 전지 생산 필수 장비로 꼽히는 2차전지 믹싱 공정 장비 생산을 하는 대표적인 기업 /고체전해질 생산업체 씨아이솔리드와 고체전해질 생산라인 개발/제작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 |
KBG | KBG는 전고체 실리콘 고체 폴리머 전해질 개발로 수혜 예상됨 |
선바이오 | 선바이오는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의 전고체 전해질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 관련 소재의 생산 및 판매 사업진출 사업목적추가 |
씨아이에스 | 씨아이에스는 황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기술 및 장비 개발 국책과제의 총괄 연구기관으로 선정 |
엘앤에프 | 엘앤에프는 전고체 배터리에 들어가는 단결정 양극재를 개발하는 업체 |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테마 선정 이유및 차트
미코:삼성전자 전고체 투자 관련주
미코에서 출원한 특허 (전고체 리튬 이차전지용 갈륨-테루륨이 도핑된 고체전해질 및 그의 제조 방법) 미코세라믹 지분55.5%보유 미코세라믹은 삼성전자가 2020년 11월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217억원 투자, 지분 15.7%을 확보해 2대주주 |
미코 059090
일봉차트
티에스아이:전고체 전해질 관련주
- 고체전해질 생산업체 씨아이솔리드와 고체전해질 생산라인 개발/제작에 대한 양해각서 체결
- 2차전지 제조 장비중 Mixing 공정을 운영하는 장비와 그 시스템 판매 사업 영위
티에스아이 277880
일봉차트
.
씨아이에스:전고체 전해질 관련주
- 씨아이에스는 황화물 기반 고체전해질 기술 및 장비 개발 국책과제의 총괄 연구기관으로 선정/고체 전해질 생산라인 구축
- 2차전지 전공정에 해당하는 Coater M/C, Calender M/C, Slitter M/C 및 Tape Laminator 생산업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하는 中 CATL 등에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씨아이에스 222080
일봉차트
한농화성:전고체 가소제 가교제 관련주, 비료주
국책 과제인 리튬금속 고분자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가소제및 가교제 개발 한국화학연구원과 LG화학과 함께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을 개발 중. 비료테마 관련주 |
한농화성 011500 분기별실적
일봉차트
케이엔솔
일봉차트
이수스페셜티케미컬:전고체 황화리튬 대장주
전고체 배터리 원료인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 이수그룹 계열의 석유화학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합성세제 원료인 연성알킬벤젠(LAB) 및 노말 파라핀(NP) 등이 있으며, 주요 생산풍목중 연성알킬벤젠(LAB)과 노말파라핀(NP) 분자량 조절제(TDM, NOM·NDM) 은 국내에서 유일 하게 생산중. |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57190 분기별실적
일봉차트
아바코:전고체 전해질 관련주
- 전고체 이차전지의 고체전해질을 고속으로 증착하는 공정 및 장비 개발
아바코 083930
일봉차트
덕산테코피아:전고체 전해액 관련주
- 2차전지 전고체 배터리 제조업체 세븐킹에너지의 지분 취득및 전해액 첨가제 생산 공장 보유
일봉차트
석경에이티: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357550코스닥석경에이티 분기별실적
일봉차트
이수화학:황화리튬 전고체 관련주
- 전고체 배터리 원료인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발 및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원료 '황화리튬' 양산
일봉차트
메가터치:나트륨 전고체 수혜주
- 메가터치가 전고체 배터리와 나트륨이온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력을 확보
- 메가터치는 현재 국내 배터리 제조 3사가 생산하는 각형, 원형, 폴리머 배터리 등 모든 타입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에 테스트 핀 물량 100% 독점 공급사
일봉차트
웰크론한텍:전고체 수산화 리튬 수혜주
- 웰크론한텍은 2차전지 양극재 원료생산을 위한 황산니켈 결정화 설비와 수산화 리튬 농축설비를 2차전지 업체에 공급중
웰크론한텍 076080
일봉차트
레몬:전고체 지지제 관련주
- 기존이차전지 대비 용량과 수명이 각각 1.5배, 5.5배 향상된 전고체 지지체 개발에 성공 나노섬유 제조 및 대량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전기차용 소재 개발
일봉차트
레이크머티리얼즈:전고체 황화리튬 관련주
- 자회사인 레이크테크놀로지는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핵심 원료인 황화리튬(Li2S) 관련 기술 및 공정 개발이 원활히 진행
일봉차트
아우딘퓨쳐스:전고체 수혜주
- 아우딘퓨쳐스가 삼성의 전고체 배터리의 충·방전기 사업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차전지 충방전기 전문제조사 갑진과 공동 경영을 추진
아우딘퓨쳐스 227610
일봉차트
KBG:전고체 실리콘 수혜주
KBG는 전고체 실리콘 고체 폴리머 전해질 개발로 수혜 예상됨
KBG 318000
일봉차트
선바이오
-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의 전고체 전해질 소재의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 사업 목적에추가
선바이오 067370
일봉차트
EG:전고체 관련주
- EG는 국책과제 ‘전고상 전지용 고전압·고용량 양극 및 고용량 음극 기술 개발’을 통해 전고체 전지용 폴리에테르 기반 고분자 리튬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과 양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로 이뤄진 복합 양극 제조 기술 등을 연구 중
EG 037370
일봉차트
원준:전고체 관련주
전고체 전지용 열처리 장비 개발및 공급 |
원준 382840
일봉차트
이브이첨단소재:전고체 배터리 대장주
- 이브이첨단소재(131400)는 프롤로지움 테크놀러지 전고체배터리 전문 제조기업에 지분투자중
- 프롤로지움은 2012년부터 전고체배터리를 개발하며 IT기기용 제품을 납품 중이며, 현재 대용량 전기차용 전고체배터리를 개발 중
이브이첨단소재 분기실적확인
댓글